2016년 5월 20일 금요일

뉴욕 지하철 타는법 / 뉴욕 지하철 노선도 보는법 / 뉴욕 메트로카드 / 뉴욕 여행 팁

저번에는 뉴욕 길거리 돌아다니는 법을 소개했다. 이번에는 지하철 타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지하철 노선도를 다운받자.


지하철 노선도과 함께 이 글을 읽어보자.





먼저 노선명. 

한국에서는 대부분 숫자를 사용한다. 1호선 2호선 등등

하지만 뉴욕에서는 숫자와 알파벳을 같이 쓴다. 고로 A 트레인, N 트레인, 1 트레인, 7 트레인 이런식으로 부르면 되겠다.

주의할점은 색깔. 한국에서는 각각의 노선이 색이 다르지만 뉴욕은 아니다. 다른 노선들이 일부 구간에서 같은 색을 공유.



빨간색 1,2,3 트레인과 파란색 A,C,E 트레인을 예로 들겠다.

빨간색 1,2,3 트레인의 경우 Chambers 스트릿에서 갈라진다. 1 트레인은 맨하탄 남쪽 South Ferry 로, 2,3 트레인은 강을 건너 브루클린으로 간다.

파란색 A,C,E 트레인도 마찬가지. Canal 스트릿에서 갈라져서 E 트레인은 월드 트레이드 센터로, A,C 트레인은 브루클린으로 간다.

그러므로 월드 트레이드 센터 가는데 파란색이라고 아무거나 탔다가 브루클린으로 가는 경우가 생긴다.

한개의 선로에 한개의 노선이 다니는 한국과 달리 뉴욕 지하철은 여러개의 노선이 한개의 트랙을 공유한다

그러므로 노선 이름을 반드시 확인하고 타자.





열차 옆에 노선 번호 이름이 쓰여있다. 확인.



다음 지하철 입구.

한국 지하철은 내부 역사에서 방향이 갈라지지만 뉴욕은 다르다.


뉴욕 지하철 입구에는 2 종류가 있다.

방향이 쓰여진 입구와 그렇지 않은 입구.




먼저 방향이 쓰여진 입구에 대해서 알아보자.

23 스트릿 스테이션 / 업타운 & 퀸즈 / N,R 이라고 쓰여있다.

즉 이곳은 23 스트릿 스테이션이고 N, R 트레인을 탈 수 있으며 맨하탄 업타운, 즉 북쪽으로 간 다음 퀸즈로 건너간다는 뜻이다.

이렇게 방향이 써 있는 지하철 입구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가는게 불가능하다. 메트로카드를 한번 긁으면 15분동안 사용불가. 고로 들어가기전에 확인을 잘 하자.

노선도를 보자.





노란색 N, R 트레인이 북쪽으로 가다가 퀸즈로 넘어가서 갈라지는걸 알 수 있다.






이것도 방향이 쓰여진 입구인데 글자가 더 많다.

14 스트릿 스테이션 / 다운타운 & 브루클린 / F, M이라고 쓰여있다.

이 말은 여기서는 주황색 F,M 트레인을 탈 수 있고, 이들은 14 스트릿 아래 즉 남쪽 방향으로 간 다음 브루클린으로 넘어간다는 말이다.

이것을 노선도에서 보면



주황색 F, M 트레인이 남쪽으로 가다가 브루클린으로 넘어가서 갈라지는걸 알 수 있다.



또한 8 Av & Brooklyn L / 1,2,3 at 7 Av 라고 쓰여있다.

이 말은 지하철 입구로 들어가면 8 애비뉴나 브루클린 방향으로 가는 L 트레인을 탈 수 있으며

7 애비뉴에 있는 1,2,3 트레인을 탈 수 있는 플랫폼과 도보로 연결되어있다는 말이다.

이것을 노선도에서 보면







회색 L 트레인이 연결되어있고 또한 검은색 가는 선, 즉 도보로 빨간색 1,2,3 트레인 14 스트릿 스테이션과 연결되어있다는걸 알 수 있다. 




다음은 방향이 안쓰여있는 입구. 대표적인 예가 타임스퀘어다.








방향이 안쓰여있고 노선 번호만 표시된 정거장들은 안에서 방향과 노선이 갈라진다





이런 식으로 안에서 갈라진다.

그러므로 안에서 노선 번호를 보고 업타운인지 다운타운인지 방향을 잘 보고 가면 된다.






위와 같이 플랫폼에 방향과 노선이 쓰여있다.

잘 보고 타자.





다음으로 급행 (Express) 과 일반 (Local) 에 대해서 알아보자.

노선도에서 흰색 점은 급행, 검은색 점은 일반이다.

즉 급행열차는 검은색 정거장에서는 서지 않고 통과한다.

노선도에서 보자.


센트럴파크 서쪽의 AC, BD 노선을 예로 들겠다.

제일 아래 59 st Columbus Circle 에서 지하철을 타고 북쪽으로 간다고 가정하자.

Columbus Circle 은 흰색 점이다. 그러므로 모든 열차들이 정차.

위쪽의 72 St는 검은 점이고 B,C 라고 쓰여있다. 그러므로 B,C 만 정차.

위의 81, 86, 96, 103, 110, 116 도 마찬가지로 검은점. B,C 만 정차.


125 St 는 흰색 점. 그러므로 급행열차를 포함한 모든 열차가 정차.

즉 Columbus Circle 에서 125 St 까지 빨리 가고 싶으면 A 나 D 를 타면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것은 급행 열차를 이용하면 빨리 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급행열차를 타면 원하는 곳에 내리지 못할 수 도 있다는 것이다.

81 St Museum of Natural History, 자연사 박물관에 가려고 지하철을 탔는데

B, C 가 아닌 A, D 를 타버리면 125 St 까지 가서야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노선 색깔이 아닌 노선 이름과 번호를 잘 확인하자.

참고로 125 St 는 할렘이다.






메트로카드 사는법은 따로 설명하지않겠다. 기계가 시키는대로만 하면 되고 Zip Code는 10000 입력하면 그만.

한글을 지원하는 자판기도 존재한다. 너무 걱정하지말자.


메트로카드 사용법은 그냥 적당한 속도로 스윽 긁어주면 된다.





나갈때는 카드가 필요 없다. 그냥 밀고 나가자.

단지 주의할 점은 출구 번호가 없다는것. 출구 번호 대신 스트릿이나 애비뉴 이름이 써있다.

자신의 목적지를 확인한 뒤 그곳과 가까운 출구로 나가자.




Exit 옆에 애비뉴 스트릿 이름이 써있다. 확인 후 나가자. 

가방이 너무 크면 왼쪽 Emergency Exit 의 회색 바를 밀고 나가자.

가끔 요란한 소리가 나는것도 있지만 괜찮다.



몇번 타보면 별것도 아니다. 너무 어렵게 설명한거 아닌가 모르겠다. 도움이 되길 바란다.





필자의 쇼핑몰

댓글 2개: